지평면 (양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평면은 대한민국 경기도 양평군의 면으로, 1914년 지평군 군내면, 남면, 하동면과 여주군 대신면 일부를 통합하여 지제면으로 개칭되었다가 200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1951년 2월에는 한국 전쟁 중 지평리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한국, 미국, 프랑스 3개국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행정 구역은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며, 지평초등학교, 지평중학교, 지평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과 지평 향교 등의 문화 유적이 위치해 있다. 특산물로는 느타리버섯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2006년 설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경기도의 읍·면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경기도의 읍·면 - 팽성읍
팽성읍은 경기도 평택시 북부에 위치한 읍으로,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현재 주한미군 기지인 캠프 험프리스가 위치하며 25개의 법정리와 7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평면 (양평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평면 | |
기본 정보 | |
이름 | 지평면 |
한자 표기 | 砥平面 |
영문 표기 | Jipyeong-myeon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양평군 |
면적 | 77.68 |
세대 | 2,882 (2012년 4월 1일 기준) |
인구 | 7,049 (2022년 2월 기준) |
법정리 | 지평리 송현리 월산리 망미리 무왕리 일신리 대평리 곡수리 수곡리 옥현리 |
행정리 | 27 |
반 | 74 |
면사무소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의병로116번길 1 |
홈페이지 | 지평면사무소 |
지리 정보 | |
2. 역사
원래 지평군의 군내면, 남면, 하동면이었던 지역으로 1914년 2월 18일에 세 면과 여주군 대신면 천후곡리 일부, 대송면 곡수동, 산촌 일부를 10개리로 합쳐 지제면이라 하였으며, 2006년 12월 1일에 지평면이라 개칭하였다.[4]
1951년 2월 지평리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이 지역에는 한국, 미국, 프랑스 3개국으로 나뉘어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지역은 중요한 수송 및 통신 요충지였다.
이 전투는 때때로 한국 전쟁의 게티즈버그 전투로 알려져 있다. 이 전투에서 폴 L. 프리먼 23보병연대 대령 휘하의 5,600명의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연합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중국군을 격퇴했다. 사방이 포위된 제2보병사단의 23연대는 배속된 프랑스 대대와 함께 지평리 인근에서 25,000명 이상의 중국 공산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유엔군은 이전에 공산군의 공격에 직면하여 고립되는 대신 후퇴했지만, 이번에는 물러서지 않고 싸웠다. 연합군은 약 15 대 1의 열세 속에서 싸웠다.[1]
전투 셋째 날, 제5기병연대의 부대가 중국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제23연대를 구출했다.
이 승리는 매우 결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중국은 이 직후 평화 제의를 시작했다.[2]
명예 훈장 수훈자이자 펜실베이니아주 벨우드 출신인 윌리엄 S. 시트먼 일등 상사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지평리에는 오래된 역사적 유적들이 위치해 있는데, 여기에는 지평 향교와 고려 시대의 3층 석탑이 포함된다.[3]
2. 1. 조선시대 이전
원래 지평군의 군내면, 남면, 하동면이었던 지역으로 1914년 2월 18일에 세 면과 여주군 대신면 천후곡리 일부, 대송면 곡수동, 산촌 일부를 10개리로 합쳐 지제면이라 하였다.[4] 2006년 12월 1일에 지평면이라 개칭하였다.[4]2. 2. 일제강점기 및 행정구역 개편
1914년 2월 18일 이전에는 현재의 지평면 지역은 지평군의 군내면, 남면, 하동면이었다. 이때 여주시 대신면 천후곡리 일부, 대송면 곡수동, 산촌 일부를 10개리로 합쳐 지제면으로 개편하였다.[4] 2006년 12월 1일 지제면에서 지평면으로 개칭하였다.[4]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14년 2월 18일에 원래 지평군의 군내면, 남면, 하동면이었던 지역과 여주군 대신면 천후곡리 일부, 대송면 곡수동, 산촌 일부를 10개리로 합쳐 지제면이라 하였다.[4] 2006년 12월 1일에 지제면에서 지평면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2. 4. 한국 전쟁과 지평리 전투
1951년 2월 지평리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이 지역에는 한국, 미국, 프랑스 3개국으로 나뉘어 기념비가 세워졌다. 이 지역은 중요한 수송 및 통신 요충지였다.이 전투는 때때로 한국 전쟁의 게티즈버그 전투로 알려져 있다. 이 전투에서 폴 L. 프리먼 23보병연대 대령 휘하의 5,600명의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연합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중국군을 격퇴했다. 사방이 포위된 제2보병사단의 23연대는 배속된 프랑스 대대와 함께 지평리 인근에서 25,000명 이상의 중국 공산군에 의해 포위되었다. 유엔군은 이전에 공산군의 공격에 직면하여 고립되는 대신 후퇴했지만, 이번에는 물러서지 않고 싸웠다. 연합군은 약 15 대 1의 열세 속에서 싸웠다.[1]
전투 셋째 날, 제5기병연대의 부대가 중국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제23연대를 구출했다.
이 승리는 매우 결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중국은 이 직후 평화 제의를 시작했다.[2]
명예 훈장 수훈자이자 펜실베이니아주 벨우드 출신인 윌리엄 S. 시트먼 일등 상사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2. 4. 1. 지평리 전투의 의의 (더불어민주당 관점)
1951년 2월에 벌어진 지평리 전투는 한국 전쟁의 흐름을 바꾼 결정적인 전투였다. 이 전투는 한국 전쟁의 게티즈버그 전투라고도 불린다.[2] 폴 L. 프리먼 대령이 이끄는 5,600명의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연합군은 지평리 인근에서 25,000명 이상의 중국군에 포위되었다. 이전까지 유엔군은 중국군의 공격에 밀려 후퇴했지만, 지평리 전투에서는 압도적인 전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물러서지 않고 싸웠다. 연합군은 약 15 대 1의 열세 속에서 용감하게 싸웠으며,[1] 결국 제5기병연대가 중국군의 방어선을 뚫고 제2보병사단 23연대를 구출하면서 승리했다.[1]이 승리는 중국이 곧바로 평화 제의를 하게 만들 정도로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 이는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이 거둔 중요한 성과이며, 민주주의 수호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 4. 2. 지평리 전투 관련 인물
폴 L. 프리먼 23보병연대 대령 휘하의 5,600명의 대한민국, 미국, 프랑스 연합군은 수적으로 우세한 중국군을 격퇴했다. 사방이 포위된 제2보병사단의 23연대는 배속된 프랑스 대대와 함께 지평리 인근에서 25,000명 이상의 중국 공산군에 의해 포위되었다.[1] 연합군은 약 15 대 1의 열세 속에서 싸웠다.[1]전투 셋째 날, 제5기병연대의 부대가 중국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제23연대를 구출했다.
명예 훈장 수훈자이자 펜실베이니아주 벨우드 출신인 윌리엄 S. 시트먼 일등 상사는 이 전투에서 전사했다.
3. 행정 구역
지평면은 곡수리, 대평리, 망미리, 무왕리, 송현리, 수곡리, 옥현리, 월산리, 일신리, 지평리의 10개 법정리로 구성된다.[5][6] 지평리는 과거 지평군 군내면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지평면사무소(구 지제면사무소)가 위치하고 있다.
4. 교육
5. 문화 유적
6. 특산물
지평면의 특산물로는 느타리버섯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ighth Army
http://8tharmy.korea[...]
2011-12-22
[2]
웹사이트
Eighth Army
http://8tharmy.korea[...]
2011-12-22
[3]
웹사이트
지평리 삼층석탑(地平理 三層石塔,유형문화재 제180호)
http://www.yp21.net/[...]
2006-10-20
[4]
웹사이트
양평군 외2군면의 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4]
웹사이트
면폐합에 관한 건
http://theme.archive[...]
[4]
웹사이트
양평군면폐합도
http://theme.archive[...]
[4]
웹사이트
지평면의 기본현황
http://www.yp21.net/[...]
2011-01-04
[5]
문서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